본문 바로가기

단국대학교 교원정보

검색

네비게이션

교원정보인명목록으로 돌아가기 >

user

이영희 교수 | 죽전

교수소개

Since I received a doctoral degree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with an emphasis on Science Education from the University of Houston Main Campus in December 2007, I worked for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University of Houston for 4 years as a visiting assistant professor. The UH Teacher Education Program was an award winning teacher certificate program recognized b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Teacher Education as the Outstanding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2007. While I taught in University of Houston, I received the Teaching Excellence Award in 2010 from the university, which is one of my most memorable experiences in my teaching profession. Before I moved to the Dankook University in 2014, I was an assistant professor in Texas Southern University and taught the math & science integrated program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교육학 박사(Ed.D.) - Curriculum and Instruction(Science Education) 2008-2012 미국 University of Houston 교사교육 프로그램 강의교수 2010 년 우수강의상(Teaching Excellence Award) 수상 - University of Hosuton 2012-2013 미국 Texas Southern University 교사교육 Tenure-track 전임교수 미국 Texas 과학교사 및 영재교육자격증(Certificate i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2019-현재 교육부 과학수학정보 교육융합위원회위원 2021-2022 국가교육회의 디지털특별위원회 위원 2021-2022 경기도교육청 정책자문단 부위원장 2018 -2019 경기도교육청 미래교육위원회 부위원장 2017-2018 교육부 미래교육국제화분과 정책자문위원 2015-현재 교육부 글로벌 교원양성(GTU)사업 평가위원 2017년 생물교육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교육철학

우리가 지향하는 교육이 어떤 사회를 살 것인지를 결정한다는 교육의 사회문화적 가치에 기반하여, 교육을 통한 개인의 삶의 가치 추구 및 사회인의 양성이라는 교육적 목적을 구현하고자 한다.

강의

년도, 학기, 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간표로 구성
년도 학기 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간표
2025 2학기 교육대학원 4차산업혁명과미래교육 3 화20,21,22(대학원동321)
2025 2학기 교육대학원 과학철학 및 과학의 본성 2 수20,21(대학원동309)
2025 2학기 교육대학원 에듀테크융합교육세미나 3 목20,21(대학원동203)
2025 1학기 교육대학원 4차산업혁명과미래교육 3 화19,20,21(대학원동202)
2025 1학기 대학 과학사와과학철학 3 화3,4,5,6,7,8(사범403)
2024 2학기 대학 Scientific Research 3 금3,4,5,6,7,8(대학원동205)
2024 2학기 교육대학원 미래교육현장연구프로젝트 3 월20,21,22(대학원동305)
2024 2학기 교육대학원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과학교육 2 수22,23(대학원동310)
2024 2학기 교육대학원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생물교육 2 수20,21(대학원동307)
2024 1학기 대학 Scientific Research 3 금5,6,7,8,9,10(대학원동307)
2024 1학기 교육대학원 미래교육의비전및교육혁신 2 월20,21(인문102)
2024 1학기 대학 중등과학교육연구실습 3 월13,14,15,16,17,18(사범405)
2024 1학기 교육대학원 혁신교육론 2 수22,23(인문102)
2024 1학기 교육대학원 현장기반과학교육연구방법론 2 수20,21(대학원동307)

학력사항

학력사항 목록표 - 학위, 년도, 대학, 학력으로 구성
학위 년도 학력
이학사 1993 단국대학교 과학교육과 생물전공
이학석사 2001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육학박사 2007 University of Houston 교육과정및수업전공

연구분야

[개인 연구과제 수행 경력] 2015-2017 과학기술공학의 통합적 본성 연구(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 [연구보고서] 2015 인성교육중심수업강화 고등학교 교수학습 자료(5종) 개발(세종시교육청,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2016 정책-예산-평가 선순환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성과 평가도구 개발(경기도교육청,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2017 학생 주도성 프로젝트 활동 방안 정책연구(경기도교육청,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2017 '지식재산일반' 교과운영모델 연구(특허청 발명진흥원, 공동연구) [연구보고서] 2018 유·초·중등 교육분야 미래 교육비전 및 교육개혁 방향 연구(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2019 학생주도 체험학습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경기도교육청,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2019 포용사회 중장기 비전과 전략 연구Ⅱ: 교육과 보육 분야를 중심으로(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 공동연구) [연구보고서] 2019 경기혁신교육정책10년사(경기도교육청,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2019 교원능력개발평가연구(교육부,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2020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 전문가 양성 과정 개발 연구(교육부,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2020 미래사회 예비교원 양성을 위한 학교현장실습 강화 방안 연구(교육부, 공동연구) [연구보고서] 2020 경기도 교복 지원 개선방안 연구정책(경기도교육청,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2020 농촌 지역 통학버스 시스템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양평교육지원청,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2021 전북교육청 혁신교육 연구보고서 연구동향 분석(전북교육청,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2021 마을결합혁신학교 발전적 운영 및 성과 지표 개발 방안 연구(서울시교육청, 연구책임) [연구보고서] 2023 고교학점제 전면도입에 따른 고교체제 개편 방안 연구(세종시교육청, 연구책임)

컨설팅 가능분야

과학교육 및 과학철학 교원양성 및 교사교육 교육정책연구 교육과정분석 혁신교육(융합교육)

연구실적

연구실적
구분 기준일 제목
일반논문 2024-12-01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나타난 생태전환교육 관련 생태소양 요소 분포 분석
일반논문 2024-11-29 지역사회 연계 교육의 실천 과정에서 나타난 마을교육공동체 구성원의 인식 조사 연구 : 마을결합혁신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일반논문 2024-06-25 학생 선택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 분석 및 현장 인식 조사 : 세종시 교과중점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일반논문 2024-05-31 마을교육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서울시 초 중등 ⋅ 마을결합형학교 운영사례 분석 및 함의
일반논문 2023-11-01 성 인지 감수성 개념 영역 제안 및 교사들의 성 인지 감수성 조사
일반논문 2023-09-30 공과대학의 이론 및 실험・실습 원격수업 운영현황 조사 및 학생 인식 탐색: COVID-19 대응 운영 중심으로
일반논문 2022-11-30 고교학점제 운영 과정에서 고교 교사들이 겪은 어려움에 대한 인식과 역할 내용 탐색
일반논문 2022-10-31 대학 원격수업의 비대면 평가 운영 현황 및 과제수행 평가 운영 사례 분석
일반논문 2022-07-20 대학 수학 기초능력평가 도구 개발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일반논문 2021-10-29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기반 동료평가 활용 대학 수업 모델 개발 및 운영 사례 분석 : 단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일반논문 2021-09-30 팬데믹 상황에서의 대학 원격강의 운영 실태 및 우수 강의 분석: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일반논문 2021-07-01 대학 교육에서의 비교과 활동 연계 활용 현황 및 교수자 인식 분석
일반논문 2021-03-30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의 인식 FGI 조사
일반논문 2021-01-30 코로나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실태 및 학생 만족도 기반 효과적 운영 방안 탐색 - 수도권 소재 대형 종합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 2020-12-30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NOS) 분석
일반논문 2020-09-30 자유학년제 생명과학 탐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핵심역량, 과학 관련 태도 중심으로 -
일반논문 2020-09-30 역량중심 대학 융합교육 방향 탐색을 위한 전문가 인식 조사
일반논문 2020-08-31 대학 비교과 학습공동체(Learning Community) 프로그램 모델 개발 및 운영 사례 분석
일반논문 2020-08-31 학생주도 학교 현장체험학습 학교급별 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일반논문 2020-06-30 교육주체 및 국내·외 교육전문가의 FGI를 통한 미래교육 방향 탐색
일반논문 2020-06-30 COVID-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 탐색
일반논문 2020-04-30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기술의 본성(NOT)에 대한 인식 조사
일반논문 2020-02-28 공공성 기반 고등교육 진단 및 미래 방향성 제안 : 전문가 그룹 면담(FGI) 분석을 중심으로
일반논문 2019-12-30 ‘지식재산 일반’ 연구 협력학교 운영모델의 CIPP 기반 평가 사례 연구
일반논문 2019-12-30 기술의 본성(NOT) 개념 틀 제안 및 이공계 대학생들의 기술의 본성(NOT)에 대한 인식 탐구
저서/역서 2019-11-27 학교자치. 2. 교육공동체가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민주주의
일반논문 2019-11-25 교육 개혁의 방향에 관한 학생·학부모·교원 및 교육정책전문가들의 인식 조사 연구
일반논문 2019-10-31 다학문적 접근의 과학 융복합 프로그램을 통한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인식 탐구
일반논문 2019-08-31 대학 교양교과 온라인 융합과학 프로그램이 이공계열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분석: 과학의 본성(NOS) 및 융합인재소양(STEAM Literacy) 중심으로
일반논문 2019-08-31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의 대학생활 특성 탐색:4) 수도권 소재 D종합대학 사례 연구 중심으로
일반논문 2019-06-28 중학교 자유학년제 활용을 위한 과학기반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에 따른 효과 분석
일반논문 2019-04-30 학생 주도형 프로젝트 교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사 인식 조사와 실행 모형 제안
일반논문 2019-02-28 대학생들의 과학과 기술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관계에 대한 탐색
연구보고서 2019-02-18 학생주도 체험학습 활성화 방안 연구
일반논문 2018-11-15 FGD 활용 교육 선진국의 미래 교육 동향 탐색
일반논문 2018-10-30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일반논문 2018-08-31 학생 주도 프로젝트형 교육 활동에 대한 인식 분석: 경기도 중등교사를 중심으로
일반논문 2018-02-28 기술의 본성(NOT) 개념 틀 제안 및 과학기술공학 관련 전문가들의 인식 분석
연구보고서 2017-12-29 학생이 주도하는 프로젝트형 교육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저서/역서 2017-09-15 과학의 본성
일반논문 2017-08-31 과학기술의 사회적 쟁점에서 시민 참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실천 역량에 대한 분석
일반논문 2017-04-30 특성화고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OS) 이해를 위한 과학기술사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일반논문 2017-04-28 정책–예산–평가 선순환체제 구축을 위한정책 성과 평가도구 개발- 경기도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
일반논문 2017-03-31 공업계열 특성화고 학생들의 기술의 본성(NOT)에 대한 인식 탐구 - 과학기술사 수업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 2016-12-30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융복합 프로그램 개발 및온라인 수업 적용 분석–단국대학교 이공계 학생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2016-10-20 정책-예산-평가 선순환 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성과 평가도구 개발연구
일반논문 2016-09-30 탐구적 과학글쓰기(SWH)에 나타난 교사들의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인식 탐구
일반논문 2016-08-31 2009개정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차세대 과학기준(NGSS)의 과학실천 요소 중심으로-
일반논문 2016-07-15 야외 체험형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국립생태원 동물 생태 관련 진로체험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일반논문 2016-04-29 2009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 생명과학 단원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 분석
일반논문 2016-02-29 A Case Study of the Award Winning Science Methods Course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the US Teach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저서/역서 2016-02-15 과학적 사고와 인간
연구보고서 2015-12-01 인성교육중심수업강화를 위한 고등학교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일반논문 2015-11-01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Science Self-Efficacy Beliefs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hrough Scientific Investigations
저서/역서 2015-06-05 탐구기반 과학 교수-학습과 평가
저서/역서 2015-06-05 중·고등학교 과학 수업
저서/역서 2015-06-05 과학적 탐구
일반논문 2015-04-01 How Do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Present the Nature of Science?
일반논문 2015-03-01 과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해석한 환경소양 요소에 의한 중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교과서 분석
일반논문 2015-03-01 미국 교사 자격 기준안을 통한 우리나라중등 과학 교사 1차 선발고사 문항의 분석
일반논문 2014-10-01 우리나라 생명과학 관련 분야 재미 과학자들은 어떻게 과학의 본성을이해하고 있는가
일반논문 2014-05-01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senta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in U.S. High School Biology and Korea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일반논문 2014-05-01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senta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in Korea and US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일반논문 2014-04-01 초등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에 대한 분석 - 4가지 영역의 과학적 소양을 기준으로 -
일반논문 2013-05-01 A Proposal of Inclusive Framework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Based on the 4 Themes of Scientific Literacy for K-12 School Science
일반논문 2013-03-01 질적 연구에 의한 고등학교 생명과학Ⅰ 교과서 생명과학의 이해 단원에 내포된 과학의 본성 분석
일반논문 2013-02-01 A mixed-methods analysis of the presentation about the nature of science (NOS)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일반논문 2012-08-01 A Review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 Analysis Research Conducted over the Past Three Decades in the United States and Analysi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Introductory Chapter of U.S.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수상실적

수상실적
수여기관 상훈내역 상훈일자
조회 된 데이터가 없습니다.